시마즈 요시히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마즈 요시히로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이다. 1535년에 태어나 시마즈 다카히사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성장하여 시마즈 가문의 세력 확장에 기여했다. 1572년 기자키 전투에서 300명의 병력으로 3천 명의 적을 격파하며 이름을 알렸고, 규슈를 통일하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대립하여 네시로자카 전투에서 고전했으나, 이후 히데요시에게 항복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조선을 침략했으며,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서군에 가담했으나 패배 후 영지를 보존받았다. 그는 뛰어난 무장인 동시에 문화인이었으며,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뤄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쓰마번 사람 - 시마즈 요시히사 (1533년)
시마즈 요시히사는 1533년에 태어나 사쓰마, 오스미, 휴가 3개 국을 통일하고 규슈 제패를 노렸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항복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했음에도 영지를 보전하고 은거하다 1611년에 사망했다. - 사쓰마번 사람 - 고다이 도모아쓰
고다이 도모아쓰는 사쓰마 번 출신 무사이자 메이지 시대 기업가, 정치가로서, 막말 시대 서양 문물 수용과 메이지 유신 이후 오사카 중심의 상공업 발전, 오사카 상공회의소와 오사카 증권거래소 설립, 오사카 상업강습소 설립 등을 통해 일본 경제 근대화에 기여했다. - 1535년 출생 - 성혼
성혼은 조광조의 제자이자 이이와 도의를 맺고 이황을 사사한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림파 서인에 속하여 정여립의 난과 임진왜란 시기에 활동했으며, 이황의 이기이원론을 지지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 1535년 출생 - 니와 나가히데
니와 나가히데는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토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감각을 발휘, 아즈치 성 건설 총괄, 시즈가타케 전투 기여, 에치젠 국과 가가 국 통치 등으로 활약했다. - 1619년 사망 - 후지와라 세이카
후지와라 세이카는 1561년에 태어나 1619년에 사망한 일본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학문을 수용하고 하야시 라잔 등을 제자로 두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유학을 강의하고 『촌철록』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619년 사망 -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왕으로, 반종교개혁을 추진하여 30년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나 초기에는 승리했으나, 이후 전쟁의 역전과 재정난 속에 아들에게 제위를 계승했다.
시마즈 요시히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시마즈 요시히로 |
일본어 이름 | 島津 義弘 |
출생 | 1535년 8월 21일 |
사망 | 1619년 8월 30일 |
출생지 | 이사쿠 성, 사쓰마 국 |
사망지 | 사쓰마 번 가지키 성 |
별명 | "시마즈 귀신" (오니-시마즈) |
가명 | 마타시로 |
법명 | 지테이 |
신호 | 세이모켄켄오노미코토 |
계명 | 묘엔지덴쇼레이지테이안슈 |
관위 | 효고노카미, 종5위하, 시종, 종4위하, 참의, 정3위 (증위) |
개명 | 다다히라, 요시친, 요시히로, 이신사이, 지테이 |
소속 씨족 | 시마즈 씨 |
가문 | [[File:Maru_juji.svg|15px]] 시마즈 씨 |
가문 (두번째) | [[File:Goshichi no kiri inverted.svg|15px]] 도요토미 씨 |
가문 (세번째) | [[File:大一大万大吉.svg|15px]] 서군 |
아버지 | 시마즈 다카히사 |
어머니 | 셋쇼 |
형제 | 시마즈 요시히사, 시마즈 도시히사, 시마즈 이에히사 |
배우자 | 혼고 다다타카의 딸, 사이쇼-도노, 가메토쿠, 실창부인 |
자녀 | 시마즈 히사야스, 시마즈 다다쓰네, 시마즈 다다키요, 오야지, 쓰루주마루, 구보, 만치요마루, 고미카 |
전임자 | 시마즈 요시히사 |
후임자 | 시마즈 다다쓰네 |
관직 | |
관직 | 다이묘 |
역임 | 이이노 성 성주 |
시마즈 가 당주 | 1587년 - 1602년 |
군사 경력 | |
주요 전투 | 초기 전투 기자키 전투 다카바루 포위전 미미가와 전투 이와야 성 포위전 규슈 정벌 가고시마 포위전 임진왜란 정유재란 칠천량 해전 사천 해전 (1598년) 노량 해전 세키가하라 전투 소네 성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 |
기타 정보 | |
초기 이름 | 시마즈 다다히라 |
휘 | 시마즈 요시타카 |
이명 | 무코, 하시바 사쓰마 지주 |
관련 정보 | |
주군 | 시마즈 요시히사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도요토미 히데요리 |
종교 | 불교 |
2. 생애
1535년 시마즈 다카히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시마즈 요시히로는 1554년 아버지, 형과 함께 오스미 지방 공략전에 처음 출전했고, 1557년에는 가모씨 토벌전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다.[11] 1560년 오비성의 친척을 구원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1562년 본가가 공격받자 복귀했다. 1563년 이토 요시스케에게 빼앗긴 오스미 북부 지역을 탈환하고 이이노성을 근거지로 삼았다.[2][32]
1566년부터 형을 보좌하여 시마즈 가문의 세력 확대에 기여했다.[32][36] 1572년 기자키하라 전투에서 니이로 타다모토와 함께 이토씨를 물리쳤고,[3] 1577년 이토 요시스케를 휴우가 지방에서 몰아냈다. 1578년 미미카와 전투를 지휘하여 오토모 소린을 격퇴했으며,[3] 1581년 히고 지방의 사가라씨가 시마즈씨에게 귀순하자 히고 슈고직에 임명되어 야시로성으로 근거지를 옮겼다.
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군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고, 형의 설득으로 항복했다. 이후 형이 출가하며 17대 당주가 되었지만, 실권은 여전히 형이 쥐고 있었다. 1588년 히데요시는 요시히로에게 하시바 씨와 도요토미 씨 성을 하사했다.[40]
1598년 히데요시 사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했으나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서군 패배 후 '시마즈의 퇴각'을 감행하여 사쓰마 국으로 귀환했다.[18] 에도 막부 성립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화해를 모색하여 가문을 보존했다.
1602년 이에야스는 요시히로의 행동을 이해하고 시마즈 가문의 영지를 유지하도록 했다. 요시히로는 사쿠라지마로 은퇴하여 1619년 사망했다.[1]
2. 1. 성장기와 세력 확대
1535년(덴분 4년) 음력 7월 23일 시마즈 다카히사의 차남으로 이자쿠 성에서 태어났다.[1][32] 성인식 때 부여된 이름은 다다히라(忠平)였지만 후일 정이대장군직에 오른 아시카가 요시아키의 이름 중 한 글자를 하사받고 요시타카(義珍일본어)로 바꿨다.[33]1554년(덴분 23년) 아버지 다카히사, 형 요시히사와 함께 오스미 지방[34]의 이와쓰루기(岩劍일본어) 공략전에 처녀 출전했다.[11]
1557년(고지 3년) 오스미 지방의 호족 가모씨(蒲生氏) 토벌전에서 처음 적의 수급을 베고 서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자신 역시 화살 5발을 맞는 중상을 입은 끝에 거둔 승리였다.[32][11]
1560년(에이로쿠 3년) 음력 3월 19일 휴가 지방[35]의 슈고 다이묘인 이토 요시스케(伊東義祐일본어)의 침입으로, 오비성(飫肥城일본어)의 친척 시마즈 다다치카(島津忠親일본어)가 위기에 처했는데 종가 회의 전체의 결정으로 요시히로의 입양이 결정되었다. 그에게 할당된 얼마간의 병력과 함께 오비성에서 농성했다.[11]
1562년(에이로쿠 5년) 1년여 동안 버텼으나, 사마즈 본가가 오스미 지방의 다이묘 기모쓰키(肝付일본어) 일족의 공격을 받게 되자 본가로 돌아가야 했다. 이후 오비성이 함락되면서 입양은 흐지부지됐다.
1563년(에이로쿠 6년) 오스미 북부의 기타하라(北原)가 휴가의 다이묘 이토 요시스케에게 점령되자 곧 요시히로가 다시 탈환했으며 그 때부터 기타하라씨의 이이노성(飯野城일본어)을 자신의 근거지로 삼았다.[2][32][11]
1566년(에이로쿠 9년) 이토 요시스케가 이노성을 재탈환할 목적으로 미쓰야마산에 교두보를 건설중이라는 첩보를 입수하고, 급히 큰형 요시히사, 동생 도시히사(歳久)(歳久일본어)와 함께 완공 직전에 함락시켰다. 그러나 이토의 원군이 도착하면서 재편성을 마친 이토의 부대에 의해 성안으로 쫓겨들어가 고립됐다. 미완공된 성벽은 방어력이 없어 절망적인 전투를 강요당해야 했고, 자신의 목숨마저 위험한 지경에서 겨우 퇴로를 뚫고 삼형제 모두 사지를 빠져나왔다.
같은 해, 하쿠유(伯囿)로 이름을 바꾸고 수도승이 되어 은거 한 아버지 다카히사의 뒤를 이어 큰형 요시히사가 16대 당주 자리에 올랐다. 지략이 뛰어나기로 규슈에서 유명했던 형[32][36]을 보좌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마즈씨의 세력확대에 절대적인 공헌을 시작했다.
1572년(모토카메 3년) 기자키하라 전투에서 숙적 이토 요시스케의 3천 대군을 300명에 불과한 병사로 요격했다. 이 전투는 후일 규슈의 오케하자마 전투로 불린다. 요시히로는 니이로 타다모토와 함께 이토 씨를 물리쳤다.[3]
1577년(덴쇼 5년) 이토 요시스케를 휴우가 지방에서 몰아내고 규슈 남부를 제패했다. 이후 이토씨는 북규슈의 오토모씨에게 귀순한다.
1578년(덴쇼 6년) 미미카와 전투를 진두 지휘, 분고[37] 방면에서 쳐들어온 규슈 북부의 패자(覇者) 오토모 소린을 격퇴했다.[3]
1581년(덴쇼 9년) 히고 지방[38]의 슈고 다이묘 사가라씨(相良氏) 일족이 시마즈 씨에게 귀순했고, 공석이 된 히고 슈고직에 그가 임명됐다. 원래 거점이었던 이노 성에서 사가라 일족의 근거지였던 야시로성(八代城)으로 옮겨 아소씨(阿蘇氏) 등 규슈 중부의 반 시마즈 세력들을 정리하고 분고 지방으로 쳐들어가 규슈 북부 오오토모 일족의 영토를 하나하나 점령해 들어갔다. 그는 다이묘였던 형을 대신하여 사쓰마 군의 총대장으로서 직접 진두에서 승전을 거듭했다.
1587년(덴쇼 15년) 음력 4월 17일 파죽지세로 규슈 통일을 목전에 둔 시점에,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일본어)가 보낸 10만 연합 규슈 원군과 네시로자카(根白坂일본어) 언덕에서 맞닥뜨렸다. 이때 요시히로는 총대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칼을 뽑아들고 뛰어들어야 했을 정도로 전황은 어려웠고, 분전을 거듭했으나 일개 사쓰마 지방의 병력으로는 일본을 거의 통일한 도요토미 연합군과 애당초 상대가 될 수 없었다.
음력 5월 8일 형 요시히사가 먼저 항복했다. 요시히로의 시마즈군 본대는 수 만 병력에 포위돼 이 사실조차 몰랐고, 마지막 결전만을 앞둔 상태에서 5월 22일 형이 직접 항복을 설득하러 오자 장남 히사야스(久保)를 인질로 보낸 후 히데요시에게 항복했다. 히데요시는 원래 시마즈씨의 영지였던 사쓰마[39], 오스미[34] 지방에 휴가(日向) 지방까지는 시마즈 씨의 영지로 인정해줬다. 도요토미 치하에서도 시마즈 씨는 규슈 남부 전체를 수중에 넣게 됐다.
패전의 결과, 형 요시히사가 모든 책임을 지고 출가했다. 스님이 된 형의 후임으로 요시히로가 뒤를 이어 17대 당주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이는 표면적일 뿐으로 형이 시마즈씨 집안의 정치 군사적 실권을 계속 쥐고 있어 정식적인 다이묘 이임식조차 없었다고 한다. 일각에선 다이묘 직 이임이 히데요시와 그의 측근들의 기획으로서 형제가 권력다툼으로 서로 싸우게 되면 영지를 바로 몰수할 심산이었다는 견해가 있다.
1588년(덴쇼 16년) 관백[40]에 오른 히데요시가 요시히사, 요시히로 형제를 교토로 불러올렸다. 같이 상경(上京)[41] 한 형제는 천황에 이어 히데요시를 배알했고, 이 때 요시히로는 원래 히데요시의 성씨인 하시바씨와 일본 유수의 귀족 성씨인 도요토미씨를 하사받은 반면 형에겐 하시바 글자만 하사됐다. 히데요시의 시마즈 분열책은 그 이후로도 계속됐지만 시마즈 형제는 평생 결속을 풀지 않았다.[42][43]
2. 2.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관계
158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규슈 정벌을 위해 군대를 파견하자, 시마즈 요시히로는 네시로자카 전투에서 직접 칼을 들고 싸울 정도로 분전했다. 그러나 병력 차이로 인해 시마즈군은 패배했다.[32] 음력 5월 8일 형 요시히사가 먼저 항복했고, 요시히로는 형의 설득으로 음력 5월 22일 아들 히사야스를 인질로 보내고 히데요시에게 항복했다.[36] 히데요시는 시마즈 가문에게 사쓰마, 오스미, 휴가 지방의 영지를 인정해주었다.패전 후, 형 요시히사가 출가하며 요시히로가 17대 당주가 되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여전히 형이 쥐고 있었다. 이는 히데요시가 시마즈 가문을 분열시키려는 의도였다는 견해도 있다.
1588년 히데요시는 요시히로에게 하시바 씨와 도요토미 씨 성을 하사하고 종오위하 시종에 임명했다. 반면 형 요시히사에게는 하시바 성만 하사하여 형제간 차등을 두었다.[40] 그러나 시마즈 형제는 평생 결속을 유지했다.[41][42][43]
이후 요시히로는 도요토미 정권에 협력하여 1592년 임진왜란과 1597년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
2. 3. 세키가하라 전투와 시마즈 가문의 보존
159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도요토미 정권을 지지하는 이시다 미쓰나리 세력과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하는 세력 간의 대립이 격화되어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가 발발했다. 요시히로는 서군에 가담했지만, 병력 부족과 미쓰나리와의 불화로 인해 제대로 된 활약을 하지 못했다.[17]전투 전날, 요시히로는 미쓰나리에게 야습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이는 후세의 창작이라는 설도 있지만, 당시 서군은 동군에 비해 병력이 부족했고,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별동대가 아직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야습이 효과적일 수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
전투 당일, 요시히로는 병력을 움직이지 않고 방관했다. 미쓰나리의 사자에게 원군 요청을 받았지만, 배신자라며 무례하다고 격노하여 쫓아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전투에서 서군이 패배하자, 요시히로는 적진을 정면 돌파하여 퇴각하는 '시마즈의 퇴각'을 감행했다. 이 과정에서 조카 시마즈 토요히사를 비롯한 많은 병사들이 희생되었지만, 요시히로는 무사히 사쓰마 국으로 귀환했다.[18]

요시히로는 '스테가마리(捨て奸)' 전법을 사용했는데, 이는 소수의 병력이 남아 적을 저지하는 동안 주력 부대가 퇴각하는 방식이었다. 이 전법으로 이이 나오마사에게 부상을 입히는 등 동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에도 막부 성립 이후, 시마즈 가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화해를 모색했다. 요시히로는 이이 나오마사에게 중재를 요청했고, 후쿠시마 마사노리도 화해에 기여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에야스는 시마즈 가문을 토벌하려 했으나, 시마즈 가문의 군사력과 해상 무역을 통한 경제적 위협을 우려하여 결국 영지를 보존해 주었다. 요시히로는 아들 다다쓰네를 인질로 보내는 조건으로 가문을 보존할 수 있었고, 시마즈 가문은 도자마 다이묘로서 에도 시대에도 존속하게 되었다.
2. 4. 만년
1602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시마즈 요시히로가 전장에서 어떻게 행동했는지 그 이유를 알게 된 후 시마즈 씨의 영지를 유지하게 하고 그의 아들 시마즈 다다쓰네가 그를 계승하도록 했다. 요시히로는 사쿠라지마로 은퇴하여 젊은 세대를 가르쳤다. 그는 1619년에 사망했고, 그와 함께 싸웠던 여러 가신들이 그의 뒤를 따라 자결하였다.[1]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요시히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강화 협상에 임하는 한편, 군사적 준비를 갖추고 국경을 강화했다. 요시히로는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중상을 입었던 이이 나오마사에게 강화 협상의 중재를 요청했고, 나오마사는 도쿠가와와 시마즈의 화해를 위해 힘썼다. 후쿠시마 마사노리와 고노에 사키히사도 중재에 참여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1600년 11월 5일, 당주 출두 요구를 거부하고 군비 증강을 계속하는 시마즈 가문에 분노한 이에야스는 규슈의 여러 다이묘들에게 시마즈 정벌군을 명령했다. 구로다 나가마사, 가토 기요마사, 나베시마 나오시게를 포함한 3만 군세가 시마즈 정벌에 나섰지만, 이에야스는 공격 명령을 내리지 못하고 교착 상태가 계속되었다. 세키가하라에 주력을 보내지 않았던 시마즈 가문에는 1만 명이 넘는 병력이 건재했고, 만약 장기전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면 이에야스에게 불만을 품은 도자마 다이묘들이 다시 반기를 들 가능성이 있었다.
도쿠가와 가문은 협상으로 결착을 지으려 시마즈 가문에 압력을 가하고 있던 중, 사쓰마 앞바다에서 막부가 국가 운영에서 행하고 있던 명나라와의 무역선 2척이 습격당해 침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의 배후는 시마즈 가문으로 여겨지며, 만약 무력으로 시마즈 가문을 멸한다면 구신이나 패잔병들이 해적 집단을 결성하여 무역에 의한 경제적 기반을 위협할 것이라는, 도쿠가와 가문에 대한 협박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이에야스는 태도를 완화할 수밖에 없었고, 12월 17일 시마즈 정벌군에게 철군을 명령했다.
1602년 이에야스는 시마즈 본령 안도(安堵)를 결정한다. 즉, "요시히로의 행동은 개인 행동이며, 당주 시마즈 요시히사와 일족은 승인하지 않았으므로 시마즈 가문 자체에는 처벌을 하지 않는다" 또한 요시히로의 처우에 대해서도 "나(이에야스)와 요시히사는 사이가 좋으므로 요시히로의 죄는 없다고 한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시마즈 씨에 대한 본령의 안도, 다다쓰네에 대한 가독 양도가 무사히 승인되었다.[1]
3. 임진왜란과 조선
시마즈 요시히로는 도요토미 정권에 협력하여 1592년 임진왜란과 1597년 정유재란에 모두 참전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요시히로는 4번대에 소속되어 1만 명의 군역을 명령받았으나, 메이키치 일키 등으로 인해 군역 동원이 순조롭지 못했다. 결국 시마즈 군세는 지각을 하였고,[14] 이후 4번대를 이끄는 모리 요시나리를 따라 강원도에 전개되었다. 1593년 9월 평화 협상 중에는 장남인 히사야스를 병으로 잃었다.
정유재란에서는 1597년 7월 후지도 다카토라 등의 수군과 연합하여 조선 수군을 포위 공격, 원균을 전사시켰다(칠천량 해전). 8월에는 남원성 전투에 참가하여 여러 장수들과 전주 회의에 참가한 후 충청도 부여까지 북상했다가 정읍을 거쳐 전라도 해남까지 남하하였다. 그 후 10월 말부터 사천의 수비에 투입되었다.
1598년 9월부터 시작된 사천 전투에서는 명·조선 연합군을 7,000명의 적은 병력으로 격파하였다. 시마즈 가문의 문서 『정한록(征韓錄)』에는 적병 3만 8,717명을 토벌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도쿠가와 이에야스도 이 전과를 "전대미문의 대승리"라고 평가했다.
조선에서의 마지막 해전인 11월 노량 해전에서는 다치바나 무네시게 등과 함께 고니시 유키나가 군을 구출하기 위해 출격했지만, 명·조선 수군의 매복으로 후퇴했다. 그러나 명 수군의 부장 등자룡과 조선 수군의 주장 이순신을 전사시키는 등의 전과를 올렸다. 이 해전으로 해상 봉쇄가 풀려 코니시 군은 퇴각에 성공하였고, 일본 측의 작전 목표는 달성되었다. 이러한 공으로 시마즈 가문은 영지를 증가받았다.
일본 측 기록에 따르면, 요시히로는 "귀석만자(鬼石蔓子)"(Guishimanzu)라고 불리며 조선·명나라 군에게 두려움의 대상이었다고 한다.
3. 1. 임진왜란 당시 조선측 기록
임진왜란 당시 조선 측 기록에는 시마즈 요시히로를 "침안돈(沈安頓)" 또는 "침안돈오(沈安頓吾)"라고 표기한 경우가 있다.[13]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조선 측 자료에는 "귀(鬼)" 자를 붙인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13]4. 평가
- 조선왕조에서 역대 유명 인물들의 평판을 정리한 《국조인물고》의 이순신 편에는 시마즈 요시히로를 '심안돈오(沈安頓吾)'라고 기록하고 있다.[47] 이는 일본에서 사무라 이나 귀족의 성씨(시마즈)[48][49] 옆에 존칭인 '토노(展)'를 붙여 부르는 것을, 항왜(降倭)들의 보고나 왜군과의 교섭 과정에서 본명으로 착각하여 생긴 표기로 보인다.
- 명나라의 허의후에게서 의술을 배웠을 뿐만 아니라, 다도와 학문에도 뛰어난 재능을 가진 문화인이었다. 가신을 소중히 여겨 아랫사람이라도 하대하지 않고 때로는 병졸과 함께 불을 쬐기도 했다. 당시 조선에 주둔하던 일본군은 겨울철이면 대부분 얼어 죽었는데 시마즈 군에는 한 명도 없었다고 한다. 사후에 순사를 금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13명의 가신이 그를 위해 순사하였다.
- 집에 새로 아이가 태어난 가신이 있으면, 아이가 생후 한 달 남짓 되었을 때 부모와 함께 저택으로 불러 아이를 자신의 무릎에 앉히고 "아이는 보물이다"라며 축하했다. 또 원복한 사람의 첫 알현 자리에서 그 사람의 아버지가 공훈이 있는 사람이면 "아버지를 닮아 아버지만큼의 활약을 보여주겠지?", 공훈이 없는 사람에게도 "자네 아버지는 운이 안 좋아 공훈을 세우지 못했지만, 자네는 아버지보다 우수해 보이니 공훈을 세울 수 있을 게야."라고 격려하였다.
- 《간양록》에서는 시마즈 요시히로의 무용이 다른 무장들 못지않으며, 당시 사람들이 "요시히로가 제 실력을 발휘한다면 일본 하나 집어 삼키는 것 정도는 문제도 아니다"라고 평가하였다고 적고 있다. 또한 1599년 시마즈 가문의 영지 8만 석의 가신 이쥬인 집안이 일으킨 쇼나이의 난에서 반란군이 장악한 12성 가운데 겨우 3성만을 함락시킬 정도로 고전하는 와중에도 가토 기요마사 등의 원병 제안에 "내 부하가 반기를 들었으니 마땅히 내 손으로 없애야지 어찌 남의 구원병을 번거롭게 해서야 되겠는가?" 하였다고 한다.
- 전쟁에서의 모습과는 달리 굉장한 애처가로 가정적이고 인정미가 넘치는 성격이었다. 조선에 주둔하는 와중에 아내에게 보낸 편지에서 "3년이나 조선의 진중에서 고생한 것도 시마즈의 집이나 아이들을 위해서였소. 하지만 만약 내가 죽으면 아이들은 어떻게 될지, 생각하면 눈물이 멈추지 않소. 당신에게는 많은 아이가 있으니까, 내가 죽더라도 아이들을 위해서도 강하게 살아주기 바라오. 그렇게 해주는 것이 불경 1만 부를 읊어 주는 것보다 더 기쁜 일이요."라고 적고 있었다.
- 숙적 이토 요시스케와의 기자키하라 전투에서 그의 애마가 앞발의 무릎을 번쩍 들어 적의 공격을 튕겨내(원문:躱す일본어) 요시히로의 생명을 구한 일이 있는데, 이후 요시히로는 이 말을 히자쓰키쿠리게(膝突栗毛일본어: 무릎찌르기밤색말이란 뜻)라 명명하고, 자신의 목숨을 건 중요한 일전에만 타고 다녔다 한다.[50]
- 묘소는 하세바 고묘(복창사(福昌寺) 터)에 있으며, 위패는 히오키시의 묘엔지(妙円寺)에 있다. 츠루네 신사(鶴嶺神社), 토쿠시게 신사(徳重神社), 세이보 신사(精矛神社)에 제사 지내지고 있다.
- JR규슈 이지인역(伊集院駅) 앞에는 조각가 나카무라 신야(中村晋也)가 제작하여 1988년 10월에 건립된, 용맹하게 말을 탄 요시히로의 동상이 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적진을 돌파하는 순간을 이미지한 동상이라고 한다.
- 2018년 3월 4일, 미치노에키 에비노(道の駅えびの)에 깃발을 휘두르는 요시히로의 입상이 건립되었다.[19]
- 그 외에도 키자키하라 고센죠 아토(木崎原古戦場跡)(에비노시), 카츠구리 신사(勝栗神社)(유스이정) 등에 노래비가 있다.

-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뿐 아니라 시마즈 씨를 두려워하여 그 세력을 약화시키려고 요시히로를 우대하고 오히려 그의 형 요시히사를 냉대함으로써 형제간의 갈등을 부추기려고 했지만, '''시마즈 4형제'''(요시히사, 요시히로, 토시히사, 이에히사)의 결속은 굳건하여 서로를 의심하는 일은 전혀 없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요시히로를 17대 당주로 볼 수 있다는 견해가 있지만, 요시히로는 「나는 욕됨에도 불구하고 요시히사 공의 아우가 되어」(『유신공어자기』)라고 요시히사를 경애하는 마음은 생애 변함없었다. 그러나 『가바야마 쇼켄 자기』에는 "아우 이에히사의 전공을 질투하는 모습은 총대장에 걸맞은 행동이 아니다"라고 인간적인 면모도 소개하고 있다.
- 적에게도 자비로워, 임진왜란 후에는 적과 아군 장병의 위령탑을 고야산에 건립했다.
- 조부 시마즈 타다요시로부터 "웅무영략으로 다른 사람들을 뛰어넘는다"라고 평가받을 정도의 맹장이었다.
- 허삼관식 의술과 다도, 학문에도 뛰어난 재능을 가진 문화인이기도 했다. 또한, 가신들을 소중히 여겼기 때문에 많은 가신들에게 존경받았고, 사후에는 순사 금지령이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13명의 순절자가 나오게 되었다.
- 요시히로는 주종을 가리지 않고, 병사들과 함께 화로에 몸을 녹이기도 했다. 이러한 병사들에 대한 배려 덕분인지 임진왜란에서는 일본군의 동사자가 속출했지만 시마즈 군에는 한 명도 없었다.[18]
- 요시히로는 가신들에게 아이가 태어나고 생후 30여 일이 지나면 부모와 함께 저택으로 초대하여, 그 아이를 자신의 무릎에 안고 "아이는 보배다"라며 탄생을 축하했다.[18] 또한, 원복한 자의 첫 등장 시, 그 아버지가 공을 세운 자라면 "너는 아버지를 닮았으니 아버지 못지않은 일을 할 것이다"라고 말했고, 아버지에게 공이 없는 자에게는 "네 아버지는 운이 나빠 공이라고 할 만한 것은 없었지만, 너는 아버지보다 뛰어나 보이니 공을 세워라"라고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말을 걸어 격려했다.[20]
- 미쓰야마 성을 공격할 때 중상을 입고 그 온천 요양지로 요시다 온천(에비노시)을 이용한 이후, 시마즈 가문의 온천 요양지로 자주 이용했는데, 자신뿐만 아니라 가신들도 이용하게 했다.
- 큐슈 평정 후, 요시히로가 히데요시로부터 받은 하리마 국의 영지를 관리할 때, 현지에서 이노우에 소베에 죠 시게카즈라는 인물이 검지 등에서 요시히로를 도왔다. 그 보답으로 요시히로는 이노우에에게 시마즈 성과 가문 문장을 수여했다. 이 이노우에는 시마즈 제작소의 창시자 초대 시마즈 겐조의 조상이라고 시마즈 제작소의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21]
- 히데요시에 대한 항복 당시 시마즈 가문은 본거지인 사쓰마 일국을 제외한 모든 영토를 빼앗길 것을 각오했지만, 히데요시 측 사자로서 협상에 나섰던 이시다 미쓰나리의 중재로 오스미 일국과 휴가의 일부가 시마즈 영토로 남게 되었다. 이 일로 요시히로는 미쓰나리에게 깊이 감사했고, 그 후에도 깊은 교분이 있었기 때문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시마즈 가문 내에서 동군 참가를 주장하는 자들이 주류였지만 요시히로는 미쓰나리에 대한 자신의 은혜와 친분을 이유로 서군에 적극적으로 참가했다고도 하며, 처음에는 동군에 참가할 의도로 군을 출진시켰다는 설은 에도 시대에 시마즈 가문이 도쿠가와 쇼군가에 신종해감에 따라 창작된 것이라고도 한다.
- 아내를 사랑하는 사람이었고, 가정을 소중히 여기는 인정미 넘치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중에 아내에게 보낸 편지에 "3년이나 조선의 진영에서 고생한 것도 시마즈 가문과 아이들을 생각해서다. 하지만 만약 내가 죽으면 아이들은 어떻게 될까 생각하면 눈물이 멈추지 않는다. 너에게는 많은 아이들이 있으니 내가 죽어도 아이들을 위해 강하게 살아야 한다. 그렇게 해주는 것이 1만 부의 경전을 염송해 주는 것보다 기쁘다"라는 내용이 있어, 요시히로가 가족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임을 엿볼 수 있다.
- 무용과 성실한 인품으로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 무투파 장수들에게 크게 존경받았던 것 같다. 그 때문에 세키가하라 철수전에서도 마쓰다이라 타다요시와 이이 나오마사 등 도쿠가와 譜代만이 추격을 가해 나오마사 자신이 중상을 입는 결과로 이어졌다.
- 젊은 시절의 요시히로는 특히 사기가 충천했던 것 같다. 1557년 가모 성 공격 당시, 23세의 요시히로는 가장 먼저 공격에 돌입하여 일기토에서 승리하거나 자신의 갑옷 5군데에 화살을 맞고 중상을 입는 등 필사적인 용전을 보였다고 한다. 또한 기자키하라 전투에서 日州 제일의 창술로 불린 유즈키자키 마사이에를 토벌했다.
- 1599년 출가하여 '''유신사이'''라고 호했는데, 이것은 조부 타다요시의 호인 '''닛신사이'''를 본뜬 것이다.
- 기자키하라 전투에서 이토 스스노부, 유즈키자키 마사이에와의 싸움에서 애마가 무릎을 꿇어 적의 공격을 피하고 요시히로의 목숨을 구했다. 이 말은 후에 "히자츠키 구리게(무릎 꿇은 밤색 말)"라고 불리게 되어 요시히로의 주요 전투에만 참전하게 되었고, 사람의 나이로 83세까지 살았다. 아이라시에 묘와 묘비가 세워져 있다.
- 임진왜란 당시, 요시히로는 정확한 시간을 알기 위해 7마리의 고양이를 전장으로 데려갔다는 일화가 있다. 고양이의 눈이 밝은 곳에서는 가늘어지고 어두운 곳에서는 동그랗게 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시간을 읽었다고 하며, 7마리 중 2마리가 일본으로 귀환했다. 이 2마리를 모신 신사가 가고시마의 센겐엔에 있는 "고양이 신사"이다.[22]
- 말년에는 몸의 쇠약이 현저해져 혼자서 걷거나 식사를 하는 것도 불가능해졌다. 그것을 안타깝게 여긴 가신이 점심을 먹을 때 "주군, 전투입니다"라고 알리자 성 밖에서 병사들의 함성이 들려왔다. 그것을 들은 요시히로의 눈은 크게 뜨였고, 평소에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양의 식사를 다 먹었다고 한다.
- 세키가하라에서 적진 돌파 후, 살아남은 가신들은 요시히로에게 사쓰마로의 조기 귀환을 권했다. 그러나 요시히로는 오사카에 인질로 잡혀 있는 처자식을 구출하기 위해 "오사카 성에 인질로 잡혀 있는 자들을 버리고 어떤 낯으로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며 처자식 구출에 나섰다고 한다(『유신공세키가하라고합전기』).
- 요시히로의 담대한 성격을 보여주는 일화가 있다. 요시히로의 소년들이 주군이 없는 틈을 타 화로 옆에서 불집게를 불 속에서 구워 가지고 놀고 있었다. 거기에 요시히로가 나타나자 소년들은 허둥지둥 불집게를 재 속에 떨어뜨렸다. 그것을 본 요시히로는 맨손으로 화로에 떨어진 불집게를 집어 얼굴색 하나 변하지 않고 조용히 재 속에 꽂았다. 나중에 가신이 "괜찮으십니까?"라고 묻자 "괜찮다. 정말 소년들은 장난만 치고 손이 많이 간다"라고 웃으며 대답했다. 가신이 요시히로의 손을 보니 손바닥이 새빨갛게 타고 있었다고 한다(『무공잡기』). 같은 내용의 일화가 가토 요시아키에게도 있기 때문에 시마즈 가문이나 가토 가문 중 어느 한 쪽이 모방했을 가능성이 높다.
- 전진 의술에 정통하여 『카미이 아키카네 니키』에 따르면, 1584년 10월 1일부터 7일까지 일주일 동안 시마즈 타다나가와 카미이 아키카네에게 금창 의술을 전수하고 비전의 의서를 주었다. 금창 의술이란 전상 전반과 이에 수반되는 질병, 그리고 이로부터 파생되는 부인병을 다룬 의술이다.[23]
- 다도를 센노 리큐, 후루타 오리베에게 배운 다인이기도 하며, 다도 관련 서적 『유신양으로부터 리큐에게 물어온 문서』와 오리베로부터 사쓰마야키의 다완 지도를 받은 서간이 남아 있다.
5. 가족 관계
배우자 | 자녀 |
---|---|
기타고우 타다타카(北郷忠孝)의 딸 | |
거토쿠(亀徳) (소우라 하루히로(相良晴広)의 딸, 후에 우에무라 나가리쿠(上村長陸)의 아내) | |
지츠마도 부인(実窓夫人) (히로세 부인(広瀬夫人), 사이쇼우 부인(宰相夫人)이라고도 함, 소노다 지츠아키(園田実明)의 딸) | |
6. 대중문화 속의 시마즈 요시히로
시마즈 요시히로는 게임, 영화, 드라마, 소설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묘사되고 있다.
6. 1. 게임
시마즈 요시히로는 다음 게임들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포켓몬 + 뮤츠(Pokémon Conquest): 파트너 포켓몬은 고래왕(Gurdurr)과 고래왕자(Conkeldurr)이다.[9]
- 토탈 워: 쇼군 2
- 삼국무쌍 시리즈
- 전국 바사라 시리즈
6. 2. 영화
2017년 영화 《세키가하라》에서 마로 아카고가 시마즈 요시히로 역을 연기했다.노량: 죽음의 바다에서 백윤식이 시마즈 요시히로 역을 연기했다.
6. 3. 드라마
- テレビドラマ일본어 (텔레비전 드라마)
- * 1980년 KBS KBS 일요일사극 맥한국어 (日曜史劇 脈) 「만인의 무덤한국어」(萬人義塚) (연기: 유병한)
- * 1981년 TBS 세키가하라 (関ヶ原일본어) (연기: 오토모 류타로)
- * 2000년 NHK 대하드라마 아오이 돗쿠가와 삼대 (葵 徳川三代일본어) (연기: 마로 아카고)
6. 4. 소설
- 도쿠나가 신이치로(徳永真一郎) 『시마즈 요시히로』(고분샤 광문사 문고, 1992년 12월) ISBN 4334716296 (후에 가쿠요쇼보 인물문고, 2010년 9월) ISBN 9784313752641
- 가노 아쓰시(加野厚志) 『시마즈 요시히로』(PHP연구소 PHP문고, 1996년 12월) ISBN 456956965X
- 이케미야 쇼이치로(池宮彰一郎) 『시마즈 달린다』(島津奔る) 상하권(신초샤신초문고, 2001년 5월) 상권 ISBN 4101408165, 하권 ISBN 4101408173
- 에구치 다카유키(江宮隆之) 『시마즈 요시히로』(가켄M문고(学研M文庫), 2004년 5월) ISBN 4059011622
- 아라카와 요시오(荒川佳夫) 『전국위신 시마즈 동정전』(戦国維新 島津東征伝) 전3권 (가켄 역사군상신서(学研歴史群像新書), 2004~2006년) 제1권 ISBN 4054026761, 제2권 ISBN 4054028640, 제3권 ISBN 4054030572
- 이마무라 쇼고(今村翔吾) 『불가사의하고 명랑한 자들과』(怪しく陽気な者たちと) (『전국무장전 서일본편』(戦国武将伝 西日本編) 수록, PHP연구소, 2023년)
참조
[1]
웹사이트
国史跡 伊作城
https://web.archive.[...]
南さつま観光
2019-07-25
[2]
웹사이트
国史跡 飯野城
https://kojodan.jp/c[...]
攻城団
2019-07-25
[3]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0
2000
[4]
서적
関ヶ原合戦史料集
https://books.google[...]
藤井治左衛門
2024-05-23
[5]
서적
戦国時代の謎と怪異
https://books.google[...]
日本文芸社
2024-05-23
[6]
서적
大垣藩戶田家の見聞書 二百年間集積史料「御家耳袋」
https://books.google[...]
愛文書林
2024-05-23
[7]
서적
岐阜県史 Volume 6
https://books.google[...]
巌南堂書店
2024-05-21
[8]
서적
大重平六覚書
https://dc.lib.kagos[...]
2024-05-21
[9]
웹사이트
Yoshihiro + Gurdurr - Pokemon Conquest characters
http://www.pokemonco[...]
2012-06-17
[10]
서적
さつま人国誌 戦国・近世編 2
南日本新聞社
2013
[11]
서적
裂帛 島津戦記
[12]
서적
日本近世武家政権論
近代文芸社
2000
[13]
서적
和国誌
ソミョン出版
2006
[14]
서적
関ヶ原島津退き口―敵中突破三〇〇里
2010-05
[15]
간행물
豊臣公儀としての石田・毛利連合政権
2016-03
[16]
간행물
関ヶ原合戦と二大老・四奉行
https://dl.ndl.go.jp[...]
東京 : 日本大学史学会
2007-09
[17]
서적
関ヶ原島津退き口―敵中突破三〇〇里―
学研パブリッシング
2010
[18]
서적
島津義弘の軍功記
島津顕彰会
2000-08
[19]
웹사이트
島津義弘公除幕式
http://michinoeki-eb[...]
道の駅えびの ブログ
2018-03-04
[20]
서적
開館20周年記念特別展図録 戦国武将 島津義弘
2006-10
[21]
웹사이트
島津製作所の公式サイトの沿革より。
http://www.shimadzu.[...]
[22]
서적
猫は犬より働いた
柏書房
2004
[23]
서적
戦国武将の健康法
https://dl.ndl.go.jp[...]
新人物往来社
[24]
간행물
島津義弘の本宗家家督相続について
1986
[25]
간행물
戦国期島津氏の家督相続と老中制
https://www.agulin.a[...]
東京 : 青山学院大学文学部
1986
[26]
간행물
戦国期島津氏の起請文
1987
[27]
서적
隼人学
南方新社
2004
[28]
웹사이트
尚古集成館、島津家系図
http://www.shuseikan[...]
[29]
서적
えびの市史
1994
[30]
문서
에도 시대 사쓰마번 초대 번주이자 요시히로의 아들인 이에히사(다다쓰네)와 동명이인
[31]
뉴스
<이병선기자의 외교기행 칼럼> `征韓論 발상지`한반도와 악연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04-12-17
[32]
서적
열백(裂帛-비단을 찢음) 시마즈 전기『裂帛 島津戦記』
[33]
문서
시마즈씨는 무로마치 시대에 같은 겐지(源氏)인 쇼군 아시카가 씨에게 사쓰마 지방의 슈고 다이묘|슈고(守護)직을 제수받고 현재 가고시마현에 정착하게 되었다. 아시카가씨와 인연이 깊은 집안이다.
[34]
문서
지금의 동(東)가고시마 현(鹿児島県)
[35]
문서
현재 규슈 남부의 미야자키현|미야자키현(宮崎縣)
[36]
문서
시마즈 다다요시의 손자들에 대한 평가
[37]
문서
오이타현
[38]
문서
구마모토현 남부
[39]
문서
가고시마현 서부
[40]
문서
일본 궁중의 최고 자리
[41]
문서
상경(일본)
[42]
문서
다이묘 통제 방식
[43]
서적
일본근세무신정권론
[44]
문서
4번대 배속 예정
[45]
문서
모리씨의 성씨 변천
[46]
서적
정한위략
[47]
웹사이트
국조인물고 권56 왜난시 정토인(倭難時征討人) 이순신(李舜臣) 편
https://terms.naver.[...]
[48]
문서
일본 씨(氏)와 성(姓)의 차이
[49]
문서
시마즈씨의 본성
[50]
문서
장수한 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